본문 바로가기
My Life/News

[오세진 소장의 드론인사이트] 급성장하는 안티드론 시장, 무분별하게 난립하는 기업문제 해결해야

by Rescue911K 2019. 11. 26.

안티드론(Counter-UAS) 기술을 가장 먼저 개발한 곳은 군대다. 군사용 드론 위협으로부터 방어를 위해서다. 현재는 군대보다 민간에서 드론을 더 많이 사용한다. 드론 위협 형태와 종류에 변화가 생긴 이유다.

DJI, 저렴한 가격에 고성능 드론 선봬…민간 안티드론 산업 필요성 제기

그 동안 민수시장은 주문생산 형태의 드론이 주류를 이뤘다. 하지만 DJI가 팬텀3를 출시하면서 변화가 생겼다. DJI는 저렴한 가격에 성능도 좋은 드론을 선보였다. 가격과 성능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혁신적인 드론 등장으로 민수분야에서는 드론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그 결과 DJI는 세계 드론 시장에서 60%를 점유하면서 ‘드론=DJI’라는 공식을 만들었다.

그 뒤부터 실제 방송과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이 활약하기 시작했다. TV 예능과 영화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등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일상의 일부가 됐다.

또한 DJI가 성장한 시기는 IS 조직이 성장하던 때와 겹친다. 미군으로부터 공격 당하기 일수였던 IS가 미군에 반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값싸고 성능도 좋으며 구입까지 쉬운 컨슈머 드론을 정찰활동에 사용하거나 무기를 장착했다. 미군 드론 만큼 좋은 성능은 아니지만 IS 정찰·공격 능력을 높이는데는 부족함이 없었다. 여기에 IS는 전쟁에서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테러에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민수용 안티드론 산업이 탄생하고 발전한 이유다. 또 드론 대중화는 안티드론 산업을 군용과 민수용으로 구분해 발전토록 했다. 군용은 다양한 군사적 위협에 광범위하게 탐지·분석·무력화가 가능하다. 지속적인 투자가 이뤄지고 있으며 군 수요 이해관계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민수용은 미확인 드론에 의한 사고나 준군사적 테러 위협에 대해 제한적으로 탐지·분석·무력화가 가능하다. IS같은 테러조직 활동은 물론 완구, 취미, 산업·업무용 드론이 확대되면서 각종 사고나 테러를 예방하는 사회안전보험 시스템 개념으로 발전한다. 최근에는 항공체계인 ATM과 UTM에 항행안전장비 플랫폼으로 통합 발전된다.

 

국내 드론 산업 생태계 지도. / 국토교통부 제공


2024년 2조7000억원 규모 시장 선점하라…한국 잰걸음

시장은 빠르게 증가한다. 마켓앤마켓츠(Market&Markets) 조사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안티드론 시스템 산업규모는 2018년 4억9900만달러에서 2024년 22억7400만달러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 기술 선두는 미국과 이스라엘이다. 한국은 이제 걸음마 수준의 R&D 투자를 한다. 그 동안 군사용 말고는 수요처가 없었기 때문이다. 군대에 적합한 시스템만 발전해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 안티드론 산업화 가능성은 충분히 높다. 인천국제공항이 국내 최초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레퍼런스 사이트로 국내외 방호 담당자로부터 관심을 받기 때문이다. 일례로 최근 사우디는 아람코 원유시설이 드론 공격을 받자 한국 안티드론 시스템을 공급받을 수 있을지 문재인 대통령에게 공식 요청했다. 국내 안티드론 산업을 한국 내수뿐 아나라 수출까지 검토하기 시작한 이유다.

 

2019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 / 국토교통부 제공


실제 우리나라는 관련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한다. 안티드론 시스템 중 레이더, RF 스캐너, RF 방향탐지기, 음파 센서같은 탐지 센서는 물론 RF재머, 레이져 무기, 지대공 무기체계 등 무력화 장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센서 통합 분석 솔루션까지 전 분야에서 정부 R&D와 민간 투자가 활발하다.

 

여기에 정부는 안티드론 산업을 발전시키고 규제를 개혁하는 한편 올바른 방향으로 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한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규제 개혁 샌드박스 프로그램으로 안티드론 산업을 선정했다. 항공안전기술원(KIAST)과 함께 규제 제한없이 기술개발과 제품화 테스트 베드를 제공해 관련 규제 개선 및 입법에 관련된 지원을 하고 있다. 규제 개혁 샌드박스 성과 발표는 12월 11일부터 이틀간 일산 킨텍스 ‘2019 대한민국 드론박람회’에서 발표된다.

과기정통부는 RF 방식 전파방해장치(Jammer)를 일부 정부기관이나 국가 주요 시설 운영주체가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법규 개정을 준비하고 있다.

정부는 또 ‘다부처 공동기획사업·공동기획연구’ 프로그램을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한다. 국산 레이더 개발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화시스템이 공동 개발한 LADD,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디지스트 레이더, 카이스트(KIAST) 레이더 등이 있다. RF 탐지 부분은 AGOS, 재머(JAMMER)부분은 담스테크, 두타, AGOS 등이 있다. AI기반 통합 소프트웨어(SW)는 필라넷이 있다.

제한적인 연구·개발, 부족한 전문가 문제 해결해야

국내 안티드론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는 이면에는 부작용도 있다. 기술력 없는 기업의 난립이다.

안티드론 산업은 방호·정책·기술 등이 융합된 종합 보안산업인 만큼 오랜기간 연구개발한 전문 기업이 필요한 산업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전문 컨설턴트, 연구기관, 제조업체가 부족한 상황에서 안티드론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자 안티드론과 관련없던 대기업이나 연구기관이 시장에 진입해 시장을 교란시킨다. 올바른 발전을 저해하는 부작용이 발생한 셈이다.

정부는 이런 문제를 대응하기 위해 '다부처 R&D' 사업과 운영가이드 제정, 관련 법규 개정 및 신설로 대응하지만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개선키 위해서는 국무 총리실 산하 국무조정실에서 안티드론 관련 컨트롤타워를 담당해야 한다. 또 원천기술은 과기정통부와 산자부가 나서고 안티드론 산업 육성과 기업 지원은 산자부, 국토부가 체계적으로 운용을 해야 한다. 전문 컨설팅 기업을 육성해 전문성도 높여야 한다.

특히 민수용 안티드론(COUNTER-UAS)산업은 안티드론 시스템이 단독·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이 아니라 UTM이나 ATM에 보안(Security) 섹션에 통합되는 개념이다. UTM이나 ATM 개발로드맵을 고려해 철저한 계획성과 보수적으로 접근해 공공성을 기준으로 공정하게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나서 적극적인 수출을 지원해야 한다.

※ 외부필자의 원고는 IT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세진 소장은 현재 파인브이티 로보틱스 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또 인천공항공사 안티드론(Counter-UAS) 기술위원, 한국재난정보학회 이사,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국장, 육군 정보/작전/군수 정책 자문위원, 특수 및 지상작전 연구회(LANSOC-K) 연구원, 항공안전기술원 기술 및 평가위원, 행안부 정부종합청사 방호 전문위원, 행안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기술위원,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기술평가위원, 한국전파진흥협회 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습니다.

출처 :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1/26/2019112601165.html

댓글